듀랜드 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듀랜드 라인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에 있는 약 2,640km 길이의 국경선으로, 1893년 영국 외교관 모티머 듀랜드와 아프가니스탄의 아미르 압둘 라흐만 칸 사이의 협정을 통해 획정되었다. 이 라인은 파슈툰족과 발루치족의 거주 지역을 분할하여 민족 정체성 문제와 영토 분쟁을 야기했으며,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아프가니스탄은 듀랜드 라인을 인정하지 않고 무효를 주장하며 양국 간의 긴장을 초래했다. 현재 듀랜드 라인은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며, 양국 군대 간의 충돌, 무장 세력의 활동, 미국의 무인기 공격 등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파키스탄은 테러, 밀수, 불법 이민 등을 막기 위해 듀랜드 라인을 따라 국경 장벽을 건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 카이베르 고개
카이베르 고개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역사적으로 인도 아대륙의 주요 통로이자 다양한 민족과 제국의 침략 및 교역로로 이용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동서양을 연결하고 근대에는 영국과 러시아의 세력 다툼의 중심지였으며 현대에는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관련된 군수 보급로로 기능했다. - 파키스탄의 영토 분쟁 - 카슈미르
카슈미르는 인도, 파키스탄, 중국이 영토를 실효 지배하며 영토 분쟁, 종교 갈등, 내전 및 충돌이 빈번한 지정학적 요충지이자 다양한 민족과 종교, 자연환경, 캐시미어 생산지로 알려진 지역이다. - 파키스탄의 영토 분쟁 - 카슈미르 분쟁
카슈미르 분쟁은 인도 아대륙의 카슈미르 지역을 두고 인도, 파키스탄, 중국 간에 벌어지는 영토 분쟁으로,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할 이후 카슈미르 지역 귀속 문제로 시작되어 현재 각국이 일부를 통치하며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 그레이트 게임 - 거문도 사건
1885년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기 위해 전략적 요충지인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으로, 조선의 취약한 국제적 지위와 열강들의 힘겨루기를 보여주며, 청나라의 외교 개입, 일본의 대조선 정책, 조선 정부의 무능력을 드러낸 근대 한국의 역사적 사건이다. - 그레이트 게임 - 영일 동맹
영일 동맹은 1902년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의 팽창과 청나라 이권 경쟁에 대한 공동의 우려로 체결한 군사 동맹으로, 중국과 한국의 독립을 상호 인정하고 특정 조건 하에 상호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관계가 악화되어 1923년 공식 종료되었다.
듀랜드 라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듀랜드 라인 |
로마자 표기 | Durand Line |
페르시아어 표기 | خط دیورند |
파슈토어 표기 | د ډیورنډ کرښه |
우르두어 표기 | ڈیورنڈ لائن |
위치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국경 |
길이 | 2640 km |
역사 | |
설정 | 1893년 11월 12일 |
설정 이유 | 제2차 영국-아프간 전쟁의 제1단계 종료 시 듀랜드 라인 협정 체결 |
현재 국경 | 1919년 8월 8일 |
현재 국경 이유 | 제3차 영국-아프간 전쟁 종료 시 1919년 영-아프간 조약 비준 |
관련 조약 | 간다막 조약 듀랜드 라인 협정 라왈핀디 조약 |
기타 | |
참고 | 인도는 카슈미르에 대한 영유권 주장으로 인해 듀랜드 라인의 동쪽 부분에서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한다고 주장한다. |
2. 역사적 배경
듀랜드 라인이 지나는 지역은 기원전 500년 이후 적어도 고대부터 파슈툰족[21]이 거주해 온 곳이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1000년기 초에 아라코시아 안팎에 살았던 팍티안족을 언급했다.[22] 발루치족은 듀랜드 라인의 남쪽 끝 발루치스탄 지역에 거주하며, 이 지역은 발루치족을 분리한다.
7세기 아랍 무슬림들이 이 지역을 정복하고 파슈툰족에게 이슬람을 전파했다. 초기 아랍인들 중 일부는 술레이만 산맥의 파슈툰족 사이에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23] 이들은 역사적으로 "아프간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10세기 초 아랍어 연대기에 그 이름으로 언급된 것으로 여겨진다.[24] 파슈툰족 지역(오늘날 "파슈투니스탄" 지역)은 10세기 가즈나 왕조에 속했고, 이후 구리드 왕조, 티무르 왕조, 무굴 제국, 호타키 왕조, 두라니 왕조, 시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25]
2. 1. 영국령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의 관계

1839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영국이 이끄는 인도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아프간 통치자들과 전쟁을 시작했다. 2년 후인 1842년에 영국군은 패배했고 전쟁은 종식되었다.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때 영국은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 영국은 영국의 적대자였던 새로운 아미르 압둘 라흐만 칸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고, 1880년에 간다막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은 여러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인도에 양도했다. 영국은 카불에 영국 거주 대표를 유지하려는 목표에는 실패했지만 다른 지정학적 목표를 달성했기 때문에 철수했다.
1893년, 모티머 듀란드는 인도 정부에 의해 카불로 파견되어 아미르 압둘 라흐만 칸과 각각의 세력권의 한계를 설정하고 외교 관계와 무역을 개선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1893년 11월 12일, 듀랜드 라인 협정이 체결되었다.[2] 두 당사자는 나중에 현재 파키스탄의 연방 직할 부족 지역(FATA)의 일부인 아프가니스탄의 호스트 근처의 작은 마을인 파라치나르에서 야영하여 국경을 획정했다.
영국-인도 측에서는 모티머 듀란드와 사히브자다 압둘 카유움, 정치 고문 카이베르 기관이 인도 총독을 대표하여 참석했다. 아프간 측은 아미르 압둘 라흐만 칸을 대표하여 사히브자다 압둘 라티프와 아프가니스탄 호스트 주의 전 주지사인 사르다르 시린딜 칸이 대표했다. 1893년 원래 듀랜드 라인 협정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며, 다리어로 번역된 사본이 있었다.
그 결과 협정으로 인해 북서부 국경 주라는 새로운 주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현재 파키스탄의 카이버 푸크툰크와 주로 알려져 있으며, FATA와 국경 지역을 포함한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은 누리스탄과 와칸을 받게 되었다.
2. 2. 듀랜드 라인 획정
최초이자 주요한 경계 획정은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의 공동 측량 및 지도 작성 작업으로, 약 800km에 걸쳐 1894년부터 1896년까지 진행되었다. 수백 개의 경계 표지 위치를 나타내는 상세한 지형 지도가 곧 발행되었으며, 인도 측량국 자료로 영국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26]이러한 상세한 인도-아프가니스탄 공동 경계 획정에 대한 20페이지 분량의 전체 문서는 여러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27][28]
1896년, 카불 강에서 중국까지의 긴 구간(와칸 회랑 포함)은 뚜렷한 분수령을 기준으로 경계가 획정된 것으로 선포되었으며, 카이버 고개 부근 구간만이 1921년 11월 22일 조약에서 최종적으로 경계가 획정되었다. 이 조약은 아프가니스탄 정부 수장 마무드 타르지와 카불 주재 영국 사절단장 헨리 R. C. 도브스가 서명하였다.[27] 1933~1934년에는 아룬두(아르나와이)에서 경계 획정에 아주 작은 조정이 이루어졌다.[4][27]
3. 듀랜드 라인의 영향
듀랜드 라인은 파슈툰족과 발루치족을 분할하여 민족 정체성 문제와 영토 분쟁을 야기했다.[97] 1893년 듀랜드 라인 조약은 영어로만 작성되었고, 당시 아프가니스탄 국왕 압둘 라흐만 칸은 영어를 읽을 수 없었다.
파키스탄은 1947년 인도로부터의 분리 독립 이후 듀랜드 라인 조약을 계승했지만, 아프가니스탄과의 공식적인 국경선 합의는 현재까지 없다. 듀랜드 라인 조약이 1993년에 효력이 만료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조약 자체에는 효력 기간을 나타내는 문구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미국 국무부와 영국 외무부도 듀랜드 라인 조약에 효력 만료가 없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98]
1949년 아프가니스탄의 로야 지르가는 듀랜드 라인의 무효를 일방적으로 선언했지만, 국제법적 관점에서 파키스탄과의 합의 없이는 변경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듀랜드 라인으로 인한 파슈툰족의 분단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양국 관계 긴장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양국 의회에 의석을 가진 파슈툰족 의원들은 듀랜드 라인의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파슈툰족은 양국의 출입국 관리 없이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2002년 미국의 특수부대가 듀랜드 라인 아프가니스탄 측 수십 킬로미터 지점에 파견되었고,[99][100] 2009년부터 미국군과 NATO군이 아프가니스탄 측에서 파키스탄 세력과 교전하고 있다. 또한, 미국군과 NATO군이 철수한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정권을 탈환한 탈레반과 오랫동안 탈레반을 지원해 온 파키스탄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101]
듀랜드 라인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 중 하나이다.
3. 1. 문화적 영향
듀랜드 라인이 확정된 직후, 영국은 듀랜드 라인 자기쪽 지역을 북서부 주 철도에 연결하기 시작했다.[2] 한편, 압둘 라흐만 칸은 누리스타니족을 정복하고 이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 동시에 아프리디 부족민들은 영국에 맞서 무기를 들고 일어서면서 페샤와르와 듀랜드 라인 사이에 불안정 지대를 만들었다. 1870년대부터 시작된 아프가니스탄과 인도 간의 잦은 충돌과 전쟁으로 페샤와르와 잘랄라바드 사이의 이동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결과적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이동은 거의 완전히 중단되었다.영국은 수만 명의 지역 파슈툰족을 인도군에 모병하여 인도 전역과 동남아시아에 주둔시켰다. 인도에 대한 노출, 펀자브 동쪽으로의 이동 용이성, 아프가니스탄으로의 이동 어려움이 결합되면서 많은 파슈툰족은 영국 인도 중심부로 향하고 카불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인도 독립 당시, 정치적 의견은 파키스탄 형태의 무슬림 인도인을 위한 고향을 지지하는 사람들, 아프가니스탄과의 재통일을 지지하는 사람들, 통합된 인도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믿는 사람들로 나뉘었다.
3. 2. 영토 분쟁
1947년 영국 인도로부터의 분할 이후 파키스탄은 1893년 협정과 1919년 라왈핀디 조약을 승계했다. 그러나 이슬라마바드와 카불 사이에는 공식적인 협정이나 비준이 없었다.[33] 파키스탄은 점유 사실에 의한 권리에 따른 국제 관례가 국경 설정에 협정이 필요 없다는 입장을 지지한다.[31] 전 세계 여러 국가의 법원과 비엔나 조약은 ''점유 사실에 의한 권리''를 통해 구속력 있는 양자 협정이 후임 국가에 "이전된다"는 점을 보편적으로 옹호했다.[34] 따라서 일방적인 당사자의 일방적인 선언은 효력이 없으며, 국경 변경은 양자 간에 이루어져야 한다.[35]독립 당시,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 파슈툰족[21]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6]
1949년 7월 26일, 아프간-파키스탄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을 때, 파키스탄 공군의 군용기가 아프간 측 국경을 넘어 발사한 사격에 대응하여 듀랜드 라인 아프간 측 마을을 폭격한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로야 지르가가 열렸다. 아프간 정부는 "가상의 듀랜드 선이나 그와 유사한 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이전의 모든 듀랜드 라인 협정은 무효라고 선언했다.[37] 또한 듀랜드 민족 분할선은 강압/협박하에 부과되었으며 독단적인 명령이라고 발표했다.
1950년 영국 하원은 듀랜드 선을 둘러싼 아프간-파키스탄 분쟁에 대한 견해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1956년 당시 파키스탄 수도인 카라치에서 열린 SEATO(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장관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되었다.
1976년 당시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인 사르다르 모하마드 다우드 칸은 듀랜드 선을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국제 국경으로 인정했다. 그는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공식 방문 중 이 선언을 했다.[15][40][17]
파슈툰족 거주 지역이 듀랜드 라인으로 분단되었고, 아프가니스탄의 로야 지르가는 1949년 일방적으로 듀랜드 라인의 무효를 선언했다. 새로운 주권 국가는 독립 전과 같은 영토를 계승한다는 국제법적 관점에서 파키스탄과의 합의 없이 듀랜드 라인의 무효화 또는 변경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파슈툰족의 분단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양국 관계 긴장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양국 의회에 의석을 가진 파슈툰족 의원들은 듀랜드 라인의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파슈툰족은 양국의 출입국 관리 없이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또한 파키스탄군은 수십 년 동안 듀랜드 라인 아프가니스탄 측 수킬로미터 지점에 군사 기지를 설치하여 양국의 무력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4. 현대의 듀랜드 라인
듀랜드 라인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99][100] 이 지역은 정부의 통제가 거의 미치지 못하고, 무장 세력들이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며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68]
4. 1. 국경 통과와 경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두 나라는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따라서 다양한 국경 통과 지점은 광역 지역 경제에 중요하다. 특히 토르캄과 카이버 고개는 중앙아시아와 인도아대륙을 잇는 주요 육상 연결 지점이다.[41]4. 2. 국경 분쟁 및 군사 활동
듀랜드 라인을 둘러싼 분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양국 군대 간 충돌, 무장 세력의 월경 공격, 미국의 무인기 공격 등 군사 활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980년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 듀랜드 라인 인근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무대가 되었고,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은 이슬람 무장 세력, 즉 무자헤딘의 거점이 되었다.[42] 사이클론 작전 기간 동안, 파키스탄 정보국(ISI)은 미국의 중앙정보국(CIA)의 지원과 자금으로 듀랜드선 파키스탄 측에서 무자헤딘 무장 단체들을 모집하여 소련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영토로 진입시켰다.[42]


1990년대 이후에는 탈레반 세력이 등장하여 듀랜드 라인을 넘어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양국에서 테러와 폭력 사태를 일으켰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으며, 듀랜드 라인은 다시 한번 국제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미군과 NATO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과 알카에다 세력을 소탕하는 작전을 펼쳤고, 이 과정에서 듀랜드 라인 인근 파키스탄 영토에 대한 무인기 공격과 월경 작전이 이루어지면서 파키스탄과의 갈등을 빚기도 했다.
2003년 7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군대는 국경 초소를 놓고 충돌했다.[58] 2007년에는 파키스탄이 남와지리스탄(남와지리스탄)의 국경을 넘나드는 시장인 앙구르 아다 근처 아프가니스탄 영토 안쪽 수백 미터 지점에 울타리와 초소를 설치했지만, 아프가니스탄 국군이 이를 신속히 제거하고 파키스탄군 진지를 포격했다.[58]



2009년, 국제안보지원군(ISAF)과 미국 CIA는 아프가니스탄 측에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듀랜드 선 파키스탄 측의 테러리스트 표적을 타격하기 시작했다.[62]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국경 지역은 정부 통제가 거의 없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 중 하나였다. 무장 세력은 양측에서 국경을 자주 넘어 공격을 가한다.[68] 2011년 6월, 500명 이상의 탈레반 무장 세력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상부 디르 지역으로 진입하여 30명 이상의 파키스탄 보안군을 살해했다.[69]
2011년 6월부터 7월까지 파키스탄 치트랄 스카우트와 지역 방위 민병대는 국경을 넘는 치명적인 습격을 받았다. 이에 따라 파키스탄군은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 쿠나르, 낭가르하르, 호스트 주의 아프가니스탄 마을들을 포격하여 많은 아프가니스탄 민간인이 사망했다.[72]
2011년 11월에는 NATO의 폭격으로 24명의 파키스탄 군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5] 이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파키스탄은 모든 NATO 보급로를 차단하고 대공포와 레이더를 설치하여 공중 활동을 감시함으로써 국경 보안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76]
4. 3. 국경 장벽 건설
파키스탄은 2016년 6월,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듀랜드 라인)을 따라 발루치스탄에 걸쳐 1,100km에 달하는 참호를 완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파키스탄으로 테러리스트와 밀수업자들의 이동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78] 2017년 3월에는 이 참호/둑/울타리 공사를 확장할 계획이 발표되었으며,[79] 2019년까지 국경을 따라 338개의 검문소와 요새를 건설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80]2017년 2월 16일, 파키스탄은 세환 폭발 사건 이후 안보상의 이유로 토르캄과 차만의 국경 검문소를 폐쇄했다.[81][82] 3월 7일, 유효한 비자로 국경을 넘었던 사람들이 각자의 국가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국경이 이틀 동안 재개방되었다. 이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피하기 위한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거듭된 요청 후에 내려진 결정이었다.[83][84] 파키스탄 관리에 따르면, 국경이 다시 무기한 폐쇄되기 전에 2만 4천 명의 아프가니스탄인이 아프가니스탄으로, 700명의 파키스탄인이 파키스탄으로 돌아갔다.[85] 3월 20일, 나와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국경 폐쇄 32일 만에 "선의의 제스처"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재개방을 명령했다.[86][87]
2017년 5월 5일, 아프가니스탄군의 파키스탄 인구 조사팀 공격과 그에 따른 양측 간의 교전 이후 국경이 다시 폐쇄되었다.[88] 파키스탄의 국경 폐쇄는 아프가니스탄 영토를 이용하여 파키스탄에 대한 국경을 넘는 공격을 수행하는 무장 단체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아프가니스탄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었다.[89] 세계무역기구(WTO)의 아프가니스탄 외교관은 파키스탄의 국경 폐쇄로 아프가니스탄이 9000만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90] 2017년 5월 27일, 아프가니스탄 당국의 요청에 따라 파키스탄은 국경을 재개방했고, 이는 22일간 지속된 국경 폐쇄의 종식을 의미했다.[91]
5. 한국의 관점
듀랜드 라인 문제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양국 관계뿐 아니라 남아시아 지역 안보, 더 나아가 국제 정세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대한민국은 1973년 파키스탄과 수교하였고, 아프가니스탄과는 1973년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1978년 아프가니스탄에 공산정권이 들어서면서 단교하였다.[1] 이후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대한민국은 아프가니스탄과 재수교하고, 아프가니스탄 재건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1]
대한민국은 듀랜드 라인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이해관계는 없지만,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남아시아 지역의 안정이 대한민국의 국익에도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 문제를 주시하고 있다.[1] 대한민국은 듀랜드 라인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Pakistan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20-09-30
[2]
웹사이트
A Selection of Historical Maps of Afghanistan – The Durand Lin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04-08-01
[3]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Vol. II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
2009-12-05
[4]
논문
Demarcation of the Indo-Afghan Boundary in the Vicinity of Arandu
1933-10-01
[5]
서적
Battleground: Government and Politics,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1-01
[6]
뉴스
No Man's Land
http://www.newsweek.[...]
2004-02-01
[7]
웹사이트
The Troubled Afghan-Pakistani Border
https://web.archiv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9-03-20
[8]
뉴스
Japanese nationals not killed in Pakistan: FO
http://archives.dawn[...]
2005-09-07
[9]
뉴스
The World's Most Dangerous Borders: Afghanistan and Pakistan
https://web.archive.[...]
2011-06-24
[10]
뉴스
No change in stance on Durand Line: Faizi
https://web.archive.[...]
Pajhwok Afghan News
2012-10-24
[11]
웹사이트
Carnegie Papers – Pakistan-Afghanistan Relations in the Post-9/11 Era
http://www.carnegiee[...]
2006-10-01
[12]
웹사이트
Why the Durand Line Matter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13]
웹사이트
Afghanistan and Pakistan: The Poisoned Legacy of the Durand Line
http://www.huffingto[...]
2015-11-21
[14]
서적
Afghanistan from the Cold War through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15]
서적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I.B. Tauris
[16]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 Publisher
[17]
서적
Humanitarian Invasion: Global Development in Cold War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논문
Pak-Afghan relations during Z.A. Bhutto Era: The dynamics of Cold War
http://www.nihcr.edu[...]
2012-12-01
[19]
논문
Pakistan-Afghanistan relation: Historic Mirror
http://www.qurtuba.e[...]
2009-01-01
[20]
뉴스
Afghanistan will never recognise the Durand Line: Hamid Karzai
https://www.dawn.com[...]
2017-03-05
[21]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Afghanista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8-08-01
[2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Chapter 7
http://www.piney.com[...]
piney.com
[2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ohamedan Power in India
https://web.archive.[...]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4]
웹사이트
Baloch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Version
[25]
웹사이트
Kingdoms of South Asia – Afghanistan (Southern Khorasan / Arachosia)
http://www.historyfi[...]
[26]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Vol. II
https://archive.org/[...]
Macmillian & Co. Ltd.
1940-01-01
[27]
서적
Map of Mainland Asia by Treaty
Melbourne University Press
[28]
논문
In the Shadow of the Durand Line; Security, Stability, and the Future of Pakistan and Afghanistan
https://web.archive.[...]
Naval Postgraduate School
2009-06-01
[29]
웹사이트
The Road to Kabul: British armies in Afghanistan, 1839–1919
https://web.archive.[...]
National Army Museum
[30]
웹사이트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http://www.bl.uk/res[...]
British Library
[31]
웹사이트
End of Imaginary Durrand Line: North Pakistan belongs to Afghanistan
https://web.archive.[...]
[32]
서적
The Origins of Conflict in Afghanistan
Praeger
[33]
뉴스
Durand Line Treaty has not lapsed
https://web.archive.[...]
2004-02-01
[34]
웹사이트
Territorial Integrity Treaties and Armed Conflict over Territory
http://www.paulhens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35]
웹사이트
Territorial Integrity Treaties, Uti Possidetis, and Armed Conflict over Territory
https://web.archive.[...]
[36]
뉴스
Would India and Afghanistan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had Pakistan not been founded?
https://www.dawn.com[...]
2017-08-22
[37]
웹사이트
The Pashtunistan Issue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11-02-11
[38]
서적
Durand Line
[39]
서적
Durand Line
[40]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 Publisher
2019-07-07
[41]
뉴스
Afghan Taliban seize border crossing with Pakistan in major advance
https://www.reuters.[...]
2021-07-14
[42]
블로그
So called "terrorist camps" (in 1989?) and training
http://supportdaniel[...]
2009-08-02
[43]
잡지
Pakistan Knocking at the Nuclear Door
http://www.time.com/[...]
1987-03-30
[44]
뉴스
How Zia's Death Helped the U.S
https://www.nytimes.[...]
1989-08-23
[45]
뉴스
F.B.I. Allowed to Investigate Crash That Killed Zia
https://www.nytimes.[...]
1989-06-25
[4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eter Tomsen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PBS Frontline (U.S. TV series)|Frontline
2006-10-03
[47]
웹사이트
The Unholy Durand Line, Buffering the Buffer
http://www.institute[...]
2001-08-11
[48]
뉴스
Pakistan's Ethnic Fault Line
https://www.washingt[...]
2009-05-11
[49]
서적
Natural Resources in Afghanistan: Geographic and Geologic Perspectives on Centuries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Elselvier
[50]
뉴스
We will respect Pashtuns' decision on Pashtunistan: Karzai
http://afghanistanti[...]
2016-09-02
[51]
웹사이트
Afghan Geodesy and Cartography Head Office (AGCHO)
http://www.agcho.org[...]
[52]
뉴스
No Man's Land – Neighbor's Interference
http://www.newsweek.[...]
[53]
뉴스
Fazl urges Afghanistan to recognise Durand Line
http://www.dawn.com/[...]
[54]
뉴스
Pashtuns on both sides of Pak-Afghan border show opposition to fencing plan
https://archive.toda[...]
2007-01-03
[55]
뉴스
More protests against fencing
https://archive.toda[...]
2007-01-10
[56]
뉴스
Fencing plan may defame Pakistan: Fazl
https://archive.toda[...]
2007-01-10
[57]
뉴스
Durand Line not a legitimate border: Zoori
http://www.pajhwok.c[...]
2009-08-03
[58]
웹사이트
RFE/RL Afghanistan Report
http://www.globalsec[...]
[59]
웹사이트
Geonames Query Home Page
http://gnswww.nga.mi[...]
NGA Geonames database
[60]
뉴스
Clash erupts between Afghan, Pakistani forces over border fence
http://news.monsters[...]
[61]
웹사이트
Fire Base Shkin / Fire Base Checo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3-07-12
[62]
웹사이트
NEWKERALA.COM for News, Information & Entertainment Stuff
http://www.newkerala[...]
[63]
웹사이트
Pakistan's Tribal Areas
https://www.pbs.org/[...]
PBS Frontline
[64]
웹사이트
Soldiers disrupt timber smuggling in Afghan province
http://www.army.mil/[...]
2009-06-09
[65]
뉴스
Timber smuggling from Afghanistan on the rise
http://archives.dawn[...]
2002-06-28
[66]
뉴스
Six Pakistanis held in Afghanistan on timber smuggling charge
http://archives.dawn[...]
2005-09-19
[67]
웹사이트
Pakistan suggests curbs to end smuggling from Afghanistan
http://www.allvoices[...]
2009-11-30
[68]
뉴스
36 soldiers die in cross-border Chitral attack
http://www.thenews.c[...]
2011-08-28
[69]
뉴스
http://www.thefronti[...]
2013-07-12
[70]
웹사이트
S.496: Afghanistan and Pakistan Reconstruction Opportunity Zones Act of 2009 – U.S. Congress – OpenCongress
http://www.opencongr[...]
[71]
웹사이트
Biometric system installed in Spin Boldak
http://www.pajhwok.c[...]
2011-06-09
[72]
뉴스
Pakistan fires missiles into Khost, say border police
http://www.pajhwok.c[...]
Pajhwok Afghan News
2011-07-01
[73]
뉴스
Afghanistan won't fire back on Pakistan: Karzai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7-01
[74]
뉴스
Afghanistan, Pakistan to coordinate amid cross-border confusion
https://news.yahoo.c[...]
Reuters
2011-07-07
[75]
웹사이트
Terrorist Safe Havens in Pakistan Must Go, Joint Chiefs Head Says
http://tolonews.com/[...]
Tolo News
2011-12-10
[76]
뉴스
Pakistan boosts border security after airstrike
http://edition.cnn.c[...]
CNN
2011-12-10
[77]
뉴스
Nato air attack on Pakistani troops was self-defence, says senior western official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11-11-27
[78]
뉴스
1,100km trench built alongside Pak-Afghan border in Balochistan
https://tribune.com.[...]
Express Tribune
2016-06-20
[79]
뉴스
Pakistan Begins Fencing of Afghan Border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7-03-25
[80]
웹사이트
Former TTP spokesman Ehsanullah Ehsan has turned himself in: Pak Army
https://www.dawn.com[...]
2017-04-17
[81]
뉴스
Pak. closes Afghan border crossing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7-02-19
[82]
뉴스
Pak-Afghan border closed for indefinite period: ISPR
https://www.thenews.[...]
The News International
2017-02-16
[83]
뉴스
Closed Afghan-Pakistani Border Is Becoming 'Humanitarian Crisi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3-05
[84]
뉴스
People throng Torkham as border reopens for two days
https://tribune.com.[...]
Express Tribune
2017-03-07
[85]
뉴스
Pakistan indefinitely closes Afghan border
http://www.skynews.c[...]
Sky News
2017-03-10
[86]
뉴스
Pakistani prime minister orders the reopening of border with Afghanistan, ending costly closure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7-03-20
[87]
뉴스
Pak-Afghan border reopens after 32 days
https://www.geo.tv/l[...]
Geo News
2017-03-21
[88]
뉴스
Pakistan-Afghanistan crossing closed after border clash
http://www.aljazeera[...]
Al Jazeera English
2017-05-07
[89]
뉴스
Closed Pakistan-Afghan Border Causes Pain, Trade Losses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90]
뉴스
Pakistan closes Durand Line, causes $90 mn trade loss for Afghanistan
https://www.firstpos[...]
FirstPost
[91]
뉴스
Pakistan opens Chaman border crossing on 'humanitarian grounds' after 22 days
https://www.dawn.com[...]
Dawn
2017-05-28
[92]
웹사이트
Pakistan-Afghanistan border fence,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1-02-25
[93]
웹사이트
Focus on bilateral border dispute
http://www.irinnews.[...]
2003-10-30
[94]
Youtube
🇵🇰 'Trump-style wall': Pakistan building wall on Afghan border
https://www.youtube.[...]
Al Jazeera English
2019-01-29
[95]
웹사이트
The Fence Driving a Wedge Between Pakistan and Afghanistan
https://www.bloomber[...]
2017-10-31
[96]
웹사이트
2680kms fencing along Pak-Afghan border completed, Sh Rashid tells Senate
https://web.archive.[...]
[97]
뉴스
‘Durand Line Treaty has not lapsed’
https://archive.is/2[...]
Daily Times (Pakistan)
2004-02-01
[98]
뉴스
Durand Line Agreement: 1893 pact had no expiry limit: expert
https://archive.is/2[...]
Daily Times
2005-09-30
[99]
웹사이트
http://www.globalsec[...]
[100]
서적
https://books.google[...]
[101]
간행물
뉴스위크 일본판(2023년 7월 18/25일호)
CCCメディアハウス
2023-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